목록All (51)
HAVING ME TIME

11월14일 일본 출신의 방송인 후지타 사유리 씨가 출산 소식을 알렸다. 한 아들의 엄마가 되었다는 근황을 전한 그의 SNS 글에 일주일 만에 댓글 3800여 개가 달렸다. 대부분 응원하는 내용이었다. 설문조사, "결혼을 해야한다" 만 13세 이상 3만8000명을 대상으로 한 통계청의 ‘2020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전체의 51.2%에 그쳤다. 나머지 절반가량은 ‘결혼을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미혼 남녀 중에서는 ‘결혼을 해야 한다’는 비율이 더 떨어진다. 남자는 40.8%, 여자는 22.4%만이 결혼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여자는 훨씬 적다.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3명꼴로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답변하기도 했다. ‘성공하거..
시기심이란? 남의 샘하는 마음을 뜻한다. 유난히 시기심이 많은 사람이 다로 잇기는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누구나 쉽게 시기심이 발동한다는 걸 알고 있어야 한다. 가장 흔한 경우는 당신의 지위가 갑자기 바뀌었을 때다. 지위가 바뀌면 친구나 동료들과 관계도 바뀐다. 특히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성공했을 경우 당신을 시기할 수 있는 사람과 당신의 성공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언제나 행운이 따랐음을 강조하거나 운의 역할을 과장하라. 도와주겠다고 제안하라 혹시라도 당신이 남들보다 뛰어난 무엇가를 타고났다면 위험성을 인식하고 그 재능을 과시하지 않도록 해라. 대신 전략적으로 뭔가 부족한 점을 드러내서 남들의 시기심을 약화시키고 당신의 타고난 우수성을 가리는 편이 좋다. 영향력이 ..

일란성 쌍둥이마저 서로 다르다 세상을 보는 방식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수만큼 다양하다.” 이 명제가 틀렸음을 증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세상을 똑같이 보는 두 사람을 찾아내는 것이다. 즉, 이 명제를 반증하는 사례를 제시하면 된다. 그럼 어떤 두 사람이 동일할까?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우리가 찾을 수 있는 최선의 사례는 동일한 환경에서 자란 일란성 쌍생아들이다. 그러면 과연 이들은 얼마나 동일할까?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일란성 쌍생아들조차도 서로 완전히 똑같은 것은 아니다. 정치적인 이념Hatemi et al., 2014이나 성격Tellegen et al., 1988 등에서 매우 비슷하지만 그래도 차이가 있다. 심지어 생긴 것도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 결국, 세상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방식은 사..

2020.11.22 영상이 대두되면서 많은 분들이 영상을 시청합니다. 그리하여 최근 맴버분들이 어떤 영상에 빠져 지내시는 알고 싶어서 자신이 최근 접한 영상을 각자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 Jun youtu.be/gx5He0CsnAE 나무 심는 사람이 라는 영상을 공유해준 준, 내용 가족을 다 잃은 주인 공이 남쪽 프로방스지역에 가서 나무를 심는 이야기 입니다. 주인공잉 나무를 심으면서 변화하는 주변환경을 이야기하는 내용입니다. 반전도 있으니 한번 주의 깊게 봐보세요! 그림의 풍?스타일? 또한 변화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Q&A 준은 역으로 우리에게 질문을 던져 줬습니다.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이로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만의 정원은 무엇인지' 2. Olivia youtu.be/rS..

2020.11.18 자신의 읽었던 책 중 일는 중간 중간 어떤 맛이 나고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책 + 맛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지만 우리는 순간 순간 책을 읽다가 특정 장면을 만나면 향과 맛을 기억하는 오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상을 한번 해보고 싶어서 이러한 기획을 해보았습니다. 1. 죽음의 수용소에서 by LEO 레오는 총 3가지 감정을 느꼈다고 합니다. 1. 인간의 존엄 2. 사랑 3. 시련 이와 같은 3가지 감정을 통해 반강제적으로 맛이라는 결론으로 귀결시켜보 았습니다. 인삼,홍삼 2. Dropping ashes on the buddha by Christine 크리스틴님은 책을 사면 인트로에 자신만의 첫인상을 책앞에 기입하신다고 합니다. 그날은 9년 크리스..

사람은 관계의 동물이라고 한다. 즉 사람과 사람사이에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우리는 그 관계속에서 행복감을 느끼고 때론 슬픔과 힘듬을 느낀다. 마음이 아픔이 있어서 병원을 찾아가는 이들의 심중팔구는 관계, 사람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면 어떤 부분이 우리를 이렇게 힘들께 할까? 경쟁심, 질투심의 발달 from 삼각관계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첫 삼각 관계 갈등의 기원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설명한다. 연적으로 인해 영원히 이루어질 수 없는 슬픈 사랑 이야기이다. 관계에서의 경쟁심, 질투심의 감정도 바로 여기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정신분석에서는 설명한다. 이 컴플렉스가 극복이 되지 않으면 대인관계에서 삼자 관계를 하지 못해 경쟁심과 질투심으로 한 사람을 밀어내는 상황을 반복하며 이자관계에서 헤어나오지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00세 시대 등장 100세 시대로 접어들메 따라, 후반의 인생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몇 억을 가지고 있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노후설계의 착각에 빠지지 않는게 중요하다. 결국, 현역시절 어떻게 자산을 관리하고 훈련하는 것에 따라서 100세대를 안전하게 접할 수 있다. 3대 착각 여든 이후는 없다는 착각 잠들면서 죽을꺼라는 착각 (100살 가까이 살면서 2-3년 동안 병원신세) 많은 분들이 아직도 자식이 재택크라는 착각 (영상을 보시면 사례가 나옵니다.) 일본을 닮은 한국 일본은 한국보다 5~10년 혹은 20년 정도 사회적 트렌드가 앞선 나라라고 한다. 현재일본은 초고령사회이다. 한국은 아직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지 않았지만 곧 접어들 것이고 나중에 일본보다 넘어 장수국가로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일본 이슈..